인디자인 INDESIGN ARCHITECTURE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83건

  1. GL & EL
  2. 철근 종류
  3. 화성 택지개발지구-10
  4. 화성 택지개발지구-9
  5. 화성 택지개발지구-8

GL & EL

Data

GL = GROUND LEVEL

EL = ELEVATION LEVEL 이 일단 맞습니다.

GL은 딱히 어디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읍니다만, 설계시에 대지의 레벨차를 따져서 GL 0를 정하는게 일반적입니다. (꼭 제일 낮은 곳이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즉, 건물의 주 진입로가 높은 곳에 있다면 높은 쪽을 평균값을 쓸 수도 있고, 아니면 전체 평균 값을 쓸 수도 있고 그렇습니다.

EL은 두가지로 쓰입니다. 원래 측량에서 사용하는 EL 값은 해발고도를 기준으로 하는 값인데요, 해발고도의 기준은 인천만 평균해수면 높이 0m이고, 실제 높이를 알기 위해 인하대학교 구내에 설치한 수준원점의 높이 26.6871m를 기준으로 전국에 1등, 2등 국가수준점을 설치하여 알고 싶은 곳의 해발고도를 구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건축도면에서 사용되는 EL은 단순히 ELEVATION LEVEL의 개념으로써, GL만으로는 Level 계산이 복잡한 부분이 있을 때 추가적으로 사용되며 GL과 비슷하것이 일반적입니다. (예 : EL 0 = GL +400)

그렇지 않다면, 강원도 같은곳에 짓는 곳의 EL은 무지 큰 값이 되고 도면이 매우 복잡해 지겠죠.

물론, 일부 대형공사의 경우는 측량의 편의를 위해서 EL을 원래의 치수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구조물에는 별도의 EL을 주기도 하구요 (이건물의 EL 0 = 원래 EL +134,000 임 이렇게요)

이야기가 길어졌는데요, 정리하자면,

EL = Elevation Level GL = Ground Level

EL 과 GL은 상호 보조적으로 사용되며 주로 GL은 토공사 등 대지의 레벨과 관련된 부분의 높이를, EL은 건물의 높이를 나타내는데 사용됨.

FL = Finish Level (마감높이) SL = Structure Level (구조체 높이) SSL = Structure Slab Level (슬래브의 높이)

이 세가지도 상호 보조적으로 나타내며 SSL은 EL을 기준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즉, 18층 슬래브의 SSL = 17,950 = EL 18,100, 18th SL 0 = SSL 17,950, 18th FL = 18th SL + 100 이런 식이지요.

이러한 Level 값은 보다 정확한 높이정보를 제시하기 위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지만, 간혹 도면에 보면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레벨정리가 잘되어 있는 도면은 어떤 부위의 높이와 상호간의 관계를 알고자 할때, 즉 위에서 18층 바닥의 EL값을 알고자 할 때 등에 쉽게 알 수 있도록 한 도면입니다.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식 보강토 시공  (0) 2014.01.23
철근 종류  (0) 2014.01.23

철근 종류

Data

철근 구분

철근은 크게 철근콘크리트용 봉강에서 원형봉강(SR)과 이형봉강(SD)으로 분리되는데,

  1. 원형봉강(Steel Round bar)

  2. 이형봉강(Steel Deformed bar)

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형봉강의 철근의 표기 방법을 나누면 SD30A, SD30B, SD35, SD40, SD50 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단부에 칠해진 색으로 구분해 볼 때,

SD30A - 단부 “녹색” (일반 이형철근)

SD30B - 단부 “백색” (일반 이형철근)

SD35 - 단부 “적색” (고강도 이형철근)

SD40 - 단부 “황색” (고강도 이형철근)

SD50 - 단부 “흑색” (고강도 이형철근)

뒤에 말하는 30이니 50이니 하는 것은 항복강도로써, fy로 표기하여 SD40을 건축공사에서는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예 : SD40 은 fy = 40kgf/mm2)

이중에서 고강도이형철근에 포함되는 철근은 SD35(적색), SD40(황색), SD50(흑색)이 포함이 됩니다.

그럼 SD30A 와 SD30B가 무엇이 틀리는지 의문이 들 수 있는데요… 이것은 가장큰 물리적인 차이와 더불어 설명드리면 “~이상”, “~이하”로 분리되느냐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예를들면 항복강도가 SD30A는 30kgf/mm2이상 SD30B는 30~40kgf/mm2 이며, 인장강도는 SD30A는 45~61kgf/mm2, SD30B 는 45kgf/mm2이상 이런식으로 구분되어 집니다.

SD : 철근콘크리트용 이형봉강을 총칭. (Steel Deformed Bar)

SR : 철근콘크리트용 원형봉강을 총칭.(Steel Round Bar)

뒤에 붙는 숫자(30)는 Fy=3000kg/cm2 , SD40은 Fy=4000kg/cm2 등의 인장강도를 의미합니다.

HD: HIGHBAR DIAMETER 고장력철근(지름 MM)

MD: MILDBAR DIAMETER 일반철근(지름MM)

뒤에 붙는 숫자(16)는 고장력철근으로 공칭지름(16mm), HD29는 공칭지름 29mm의 고장력철근을 뜻합니다.

SD35이상의 경우를 고장력철근(HD)이라 부르고, 그 미만일경우 일반철근(MD)으로 보통 분류합니다.

'Da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식 보강토 시공  (0) 2014.01.23
GL & EL  (0) 2014.01.23

화성 택지개발지구-10

Design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수동 힐스테이트  (0) 2017.06.03
GLASSBOX  (0) 2017.06.03
화성 택지개발지구-9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8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7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9

Design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GLASSBOX  (0) 2017.06.03
화성 택지개발지구-10  (0) 2014.01.23
화성 택지개발지구-8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7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6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8

Design

 

'Desig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성 택지개발지구-10  (0) 2014.01.23
화성 택지개발지구-9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7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6  (0) 2014.01.22
화성 택지개발지구-5  (0) 2014.01.22